캘리포니아주 식품 라벨 표기 방식, 2026년부터 확 달라진다

캘리포니아 식품 라벨링 변화. (챗GPT 이미지 생성)

캘리포니아주가 ‘식품 날짜 라벨’을 표준화한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발의한 ‘AB 660’ 법안이 통과되면서, 2026년 7월 1일부터 새로운 식품 유통기한 표기법이 시행된다. 이 법안은 소비자 혼란을 줄이고, 불필요한 식품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미국 내 식품 폐기물의 상당 부분이 유통기한 표기 혼란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표준화 조치는 환경적·경제적으로도 의미가 크다.

전문가들은 캘리포니아를 교두보 삼아 미국 진출을 확대하고 있는 한국 F&B 기업은 사전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양한 표기로 소비자 혼란을 불러왔던 기존 표기 방식

그동안 미국 내 식품 포장에는 ‘Sell By(판매기한)’, ‘Best Before(최고 품질 유지 기한)’, ‘Expires On유통기한)’, ‘Use By(소비기한)’ 등 다양한 날짜 표기가 공존했다. 같은 제품군이더라도 한 제품에는 ‘Sell By 2025.06.01’, 다른 제품에는 ‘Best Before 2025.06.01’ 또는 ‘Expires On 2025.06.01’ 등으로 표기하는 식이다.

소비자 입장에선 어떤 날짜가 품질 보증 기한인지, 언제까지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지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FDA와 USDA 같은 미국 식품당국에선 ‘Sell By’는 소매점의 재고 관리용 표기인데, 이 날짜를 식품의 ‘안전 소비 기한’으로 오해해 아직 먹을 수 있는 식품을 버리는 소비자가 많다고 전한다.

유통기한 표기, 어떻게 바뀌나?

기존 표기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Sell By(판매기한): 소매점에서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기한. 소비자에게는 품질과 무관한 정보
  • Best Before(최고 품질 유지 기한): 제품의 최상의 맛과 품질을 보장하는 기한. 이 날짜가 지나도 섭취에는 문제없을 가능성이 있다.
  • Expires On(유통기한): 제품을 섭취해도 안전한 마지막 날짜
  • Use By(소비기한): 제품을 섭취해야 하는 마지막 날짜

AB 660 법안 시행이 시행되는 2026년 7월 1일부터는 다음과 같이 통일된다.

  1. 품질 보증 날짜
  • BEST if Used By(품질유지기한): 제품의 최상의 맛과 품질을 보장하는 기한
  • BEST if Used or Frozen By(냉동 보관 시 품질유지기한): 냉동 보관했을 때 제품의 최상의 맛과 품질을 보장하는 기한

2. 안전 소비 날짜

  • USE by(소비기한): 제품을 섭취해야 하는 마지막 날짜
  • USE by or Freeze by(냉동 보관 시 소비기한): 냉동 보관했을 때 제품을 섭취해야 하는 마지막 날짜

소비자·업계 모두에 긍정적 효과 기대, 한국 F&B 기업들은 미리 대비해야

캘리포니아주는 미국 내 식품 트렌드와 규제의 선도주자 역할을 해왔다. 이번 식품 라벨 표기 표준화가 안착되면, 역시 다른 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 식품 유통 환경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미국 식품산업협회(CMA)는 “유통기한 표기의 표준화는 소비자 신뢰를 높이고, 식품 안전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국을 비롯해 캘리포니아 시장에 진출한 해외 식품 기업들도 새로운 표기법을 준수해야 하는 만큼, 라벨링 관련 작업을 재정비하고 있다. CMA는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식품 기업들은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표기법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현재 연세대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하고 있습니다. 대학생의 시각으로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이야기를 생생하게, 법률 정보는 유익하고 쉽게 전달하겠습니다.
"As a student at Yonsei University studying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I offer a fresh, relatable perspective on Silicon Valley startups. My goal is to make legal information beneficial and easy to understand."

추천 기사

품격 있는 노년을 향한 기술의 동행, CES에서 만난 에이지테크

여성 90.7세, 남성 86.3세. 보험개발원이 국내 생명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측정해 올해 1월에 발표한 평균수명이다. 한국 여성 평균 수명이 처음으로 90세를 넘은 지금, 어르신에게 드리는...

숙면이 부족한 현대인에게, CES가 건네는 슬립테크

헬스케어는 CES 2024에서도 강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여러 관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 디지털 헬스케어관에서는 전통적 수요층인 의료계보다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제품들이 다수...

대체재인가, 동료인가? CES에서 만난 콘텐츠 AI

빗나간 예상, AI는 예술가의 적인가 2016년 한국고용정보원에서는 AI로 인한 대체가능성이 높거나 낮은 직업들의 순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콘크리트공, 정육원 및 도축원, 조립원 등이 대체 가능성이...

위험을 통제해 혁명에 올라타는 방법, AI와 인간의 미래

AI는 CES 2024에서 가장 화두였다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알파고가 이세돌과 맞붙었던 2015년만 해도 인공지능은 일부 전문분야에서 한정적으로 사용될 것이라는 생각이 많았다. 그로부터 8년이 지난...